고속충전, 초고속충전 구분 (QC, PD, PPS 충전 이해하기)

일반 사용자가 전자제품을 사용하며 기술적인 내용은 몰라도 되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하지만 기술에 대한 내용을 조금만 알아도 이용이 훨씬 편해지는 전자제품이 있는데요, 그 중 하나가 충전기 입니다. 제조사도 다양하고 관련 기술도 많아서 그냥 사용하기에는 쉽지 않은 제품인데요, 이번 글에서 최대한 쉽게 설명 드려볼게요.

전력(W) 높을수록 충전이 빠름

전력 계산하기

우선 전력(W, 와트)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을 해야할것 같습니다. 충전 속도를 결정짓는 요인이 바로 전력이기 때문입니다. 몇 전력을 지원하는지는 충전기 박스에 표현이 돼 있겠지만, 이미 사용하시던 충전기가 지원하는 전력을 알고 싶을 때는 충전기에 작은 글씨로 적혀있는 출력 전압(V)과 전류(A)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전력(W) = 전압(V) \times 전류(A)$$

만약 전압과 전류가 여러곳에 적혀있다면 Input 규격이 아니라 Output, 즉 출력에 대한 전압과 전류값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출력 전압과 전류도 값이 여러 개 적혀있을 수 있는데 그 부분은 뒤에 PPS 설명하며 다시 말씀 드릴게요.

일반충전과 고속, 초고속 충전의 차이

전력이 충전속도를 결정짓는 요인인지 아셨다면 이제 일반충전과 고속, 초고속 충전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지원 전력(W)충전 형태
15W 미만일반 충전
15W 이상고속 충전
25W 이상초고속 충전
45W 이상초고속 충전 2.0
전력에따른-충전형태

PD와 QC는 충전 규약(표준)

어느 회사 또는 단체에서 개발하고 발전시킨 충전 기술이냐에 따라 PD 충전과 QC 충전을 나눌 수 있습니다. 둘 다 충전에 관련된 규약이지만 그 안에 사용하는 기술에 있어서 차이가 있습니다.

PD (Power Delivery)

처음 USB 케이블은 충전이 아닌 데이터 전송을 위한 케이블 이었습니다. 하지만 USB 케이블을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들이 늘어나면서 USB 케이블에 충전 기술을 추가하게 되었는데, 이 때 추가된 충전 기술이 PD 입니다. 즉 PD의 발전은 USB 케이블의 발전과 그 역사를 같이하는거죠. PD는 2.0 버전부터 PDO (Power Data Objects) 라는 기술을 도입하였고, 3.0 버전부턴 PPS (Programmable Power Supply) 라는 기술을 도입했습니다. PPS가 도입된 PD 3.0 부터는 거의 업계 표준이라 이야기 할 수 있을만큼 대부분의 기기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QC (퀄컴 Quick Charge)

QC는 퀄컴에서 자사의 스냅드래곤 AP를 사용하는 휴대폰을 충전하기 위해 만든 고속충전 기술입니다. 퀄컴의 스냅드래곤 뿐 아니라 삼성의 엑시노스도 지원했기 때문에 국내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고속충전 기술이었지만, 16년 10월 이후 구글이 안드로이드 폰에서 PD 기술만 사용할 것을 권고하였고 QC는 점점 설 자리를 잃어갔습니다. 결국 QC 4.0 충전기 부터는 QC도 PD 규약을 따라 만들게 되었으며 현재는 PD 규약이 업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규약 입니다.

PPS는 기기 맞춤 충전 기술

앞에서 PDO와 PPS 기술에 대해 잠깐 언급 했었는데요, 두 기술 모두 PD 규약에서 소개된 기술 입니다. PDO는 PD 2.0, 그리고 PPS는 3.0에서 소개되었고요, 충전하는 기기가 받아들일 수 있는 만큼 전압과 전류를 조정하며 충전하는 기술 입니다. 단 PDO는 전압은 고정된 상태에서 전류만 상황에 맞게 조정하고요 PPS는 전압과 전류를 모두 조정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PPS가 더 발전된 기술입니다.

$$(3.3-11.0V)\,4.05A\,\,\,or\,\,\,(3.3-16.0V)\,2.8A$$

PPS를 지원하는 충전기를 보면 출력 전압, 전류에 위와 같이 여러 값이 적혀있습니다. 하나의 전압과 전류만 지원하는것이 아니라 여러 범위의 전압과 전류를 지원하기 때문입니다.

USB-C-To-C-케이블
USB-C-to-C-케이블

마지막으로 PPS 충전기를 사용하실 때 주의하실 점이 있는데요, PD 충전기라고 하더라도 필수로 PPS를 지원하는 것은 아니니 꼭 충전기의 규격을 확인 해주시고요, PPS 충전기는 C to C 타입의 케이블만 지원합니다. C 타입이라고 하면 위에 사진 같이 둥그렇게 처리된 사각형 모양의 타입을 이야기 하고요, 한쪽만 C 타입이면 안되고 양쪽 모두 C타입 이어야 합니다.

맺음말

만약 내 핸드폰이 25W까지 고속충전 된다면 충전기도 25W 혹은 그 이상에 맞춰서 사시면 되고요, 아이폰을 포함해서 어디든 사용할 수 있는 충전기를 찾으신다면 PD 충전기 중 PPS 기술이 도입된 충전기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당연히 USB C to C 혹은 C to 라이트닝 (아이폰의 경우) 케이블을 사용하시면 되고요. 혹시 글 관련해서 궁금하신 내용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항목 *)

guest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