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에서 청년들을 위한 주택청약 통장을 출시했습니다. 입금액에 대한 높은 금리, 이자에 대한 비과세 혜택, 낮은 금리의 대출과 같이 파격적인 혜택이 그 안에 포함되어 있어서 조건이 맞다면 신규로 개설하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하지만 해당 상품을 주택청약 종합저축에서 전환하실 때 주의하실 점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 부분에 대해 설명드릴게요.
사전설명
통장 개설 방법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을 개설하는 방법은 세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청약통장이 없는 가입자가 첫 청약통장을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으로 바로 개설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청년우대형 청약저축 통장에서 자동전환되어 개설하는 방법입니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주택청약 종합저축 통장에서 전환하여 개설하는 방법인데, 이 글에서 말씀드리고자 하는 주의점은 마지막의 경우, 즉 주택청약 종합저축 통장에서 전환하여 개설할 때만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미납 인정회차 및 인정금액
주택청약 종합저축 통장에 미납 인정회차와 인정 금액이 있다는 이야기는, 통장 개설 후 매달 한번씩 납입을 해야하지만 납입하지 않은 달이 있다는 의미죠 (혹시 관련해서 개념이 확실하지 않으신 분은 이전에 제가 작성한 글을 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가입하고 첫 회차만 10만 원 납입하고 5년을 미납한 통장 A와, 오늘 가입해서 첫 회차 10만 원을 납입한 통장 B는 인정회차와 인정금액이 동일하지만 A 통장에는 미납회차와 미납금액이 있다는 측면에서 서로 다르죠.
미납이 있는 통장 vs 신규 통장
그렇다면 위에서 이야기한 두 통장의 경쟁력이 동일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관련 글). 오늘 개설한 통장 B는 앞으로 한달에 한번씩만 인정회차와 인정금액을 늘릴 수 있지만 5년 전 개설한 통장 A는 한달에 한번씩 인정회차와 인정금액을 늘리는것 뿐 아니라 지난 5년 미납한 회차와 금액도 비록 속도는 느리지만 조금씩 채워나갈 수 있습니다. 이상하게 들릴수도 있지만 현재 시점에 인정회차와 인정금액이 동일한 두 통장이 있다면 미납이 많을수록 더 경쟁력 있는 통장입니다.
통장 전환시 고려할점
유지되지 않는 미납 인정회차, 금액
그렇다면 주택청약 종합저축에 미납이 있는 상태에서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으로 전환하면 어떤 항목은 유지되고 어떤 항목은 유지되지 않을까요? 예상하신대로 가입기간, 납입 인정회차, 납입 인정금액은 모두 전환한 통장에서도 유지됩니다. 10년 된 통장이라면 전환 후에도 10년 된 통장으로 인정받으며, 60회 납입 600만 원 인정금액이 있다면 그 회차와 금액도 모두 유지됩니다.
하지만 미납이 있는상태에서 전환했을 경우 미납회차는 유지되지 않습니다. 10년 보유 중 5년만 납입하고 나머지 5년은 미납했다면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으로 전환 후 5년 납입한 내역은 유지되지만 미납한 5년은 더이상 존재하지 않습니다. 앞에서 동일한 인정회차, 금액을 가진 통장 중 미납이 많을수록 더 경쟁력 있는 통장이라고 말씀드렸는데 결국 그 경쟁력을 모두 잃어버리게 되는겁니다.
전환 전 미납 인정회차, 금액 채우기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으로 전환 후 미납을 회복하는건 불가능하지만 전환하기 전 인정된 회차와 금액은 전환 후에도 유지되기 때문에 곧바로 전환신청을 하기보다는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을 가입할 수 있는 기간 또는 환경이 허락되는 동안 미납한 회차, 금액을 최대한 채운 후 전환하시는게 좋습니다.
전환 직전 미납금을 일시납 한다면?
혹시 60회차를 미납했는데 60회차를 한번에 납입하고 바로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으로 전환하면 어떻게 될까요? 이 경우 납입인정일 계산식에 의해 납입과 동시에 10회차가 인정됩니다. 당연히 10회차에 해당하는 납입금액도 인정될거구요. 하지만 나머지 50회차에 해당하는 금액은 납입 인정금액에 속하지 못한 상태로 전환이 됩니다. 즉 이 상황에서는 미납한 50회차를 잃어버리게 되며, 50회차에 해당하는 금액은 전환된 금액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의 높은 금리도 적용받지 못합니다. 여러가지로 억울한 상황이죠.
미납이 있을 때 전환방법은?
전환하지 않기
사실 이부분에 답은 없습니다. 만약 인정 납입회차와 금액으로 주택을 마련할 가능성이 크신 분들에게는 미납을 대부분 회복하고 전환하거나 전환하지 말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청약통장은 청약 당첨을 위해 존재하는 통장인데 이자, 비과세, 대출과 같은 이유때문에 그 본질을 잃어버리면 안된다고 생각하거든요.
인정가능 최대 회차 및 금액 납입 후 전환하기
하지만 꼭 청약통장으로 국민주택에 청약할 생각이 없거나 미납이 많지 않은 분, 또는 기타 다른 수단으로 통장을 활용하려고 하시는 분들은 전환하시는 게 오히려 유리하겠죠. 하지만 아무리 청약을 통한 주택마련이 의미 없다고 생각해서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으로 전환을 고려 중이시더라도 사람일은 모르는거니까 최대한 인정 납입횟수와 금액은 채우고 전환하시는 게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기는 합니다.
전환을 고려할 때 최대한 인정횟수와 금액을 채울 수 있는 방법은 개인마다 다릅니다. 예를들어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에 가입할 수 있는 연한이 1년 남았다고 한다면 1년 후까지 인정받을 수 있는 회차 만큼을 오늘 당장 입금하는 겁니다(나이 조건 외에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에 가입할 수 있는 기간은 25년 12월 31일입니다). 오늘 당장이라고 말씀드린 이유는 입금일자가 늦어질수록 1년이라는 기간동안 인정받을 수 있는 회차가 줄어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오늘 입금 기준으로 1년 후까지 인정받을 수 있는 회차가 22회차라면 오늘 22회차에 대한 금액 (회차당 10만 원 해서 220만 원이면 가장 좋죠)을 바로 입금하고 추가입금 없이 1년간 기다리신 후 전환하시면 됩니다.
납입한 미납회차가 어떤 수학 식을 통해 대략 어느 정도의 기간이 흘러 인정되는지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시면 (여기 글)에서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지금까지 통장에 납입한 내역을 입력한 후 실제 납입 인정일을 계산하시려면 (여기 글)을 통해서 계산하시면 됩니다.
맺음말
마지막으로 다시한번 강조 드리면, 청약통장의 본질은 통장을 통한 주택마련에 있습니다. 많은 이자를 받거나 낮은 금리로 대출을 받는건 통장의 본질과는 약간 거리가 있죠. 사실 이자가 높아보이긴 하지만 실제로 납입 예정금액과 이율로 계산해보면 그 정도 이율로는 주택을 구매할 때 도움이 될 만큼의 자산 형성이 어렵습니다 (기존 통장대비 1.7%p 더 받거든요). 주객이 전도되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에 이 글을 작성했고요,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으로 전환하시더라도 최대한 회차와 납입금액을 인정받고 전환하셔서 혹시 모를 미래를 대비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청약통장 25만원 상향, 미납회차 많을수록 더 많은 피해 발생
- 청약 납입금액 25만원으로 상향, 선납 금액도 추가 납입 가능
- 주택청약종합저축 금리, 소득공제 및 해지 관련 정보
- 주택청약 통장 – 금리 인상, 소득공제 한도 상향등 혜택 강화
- 주택청약 납입횟수 및 인정금액 이해하기
- 주택청약 통장 미납회차 납입 & 납입 인정일 계산하기
- 주택청약 통장 미납회차, 이런 방식으로 채워집니다
- 주택청약 미납회차 납입 인정일 계산기
- 미납회차 많은 청약통장,해지하고 다시 만들어야 할까요?
Leave a Reply to LEE Cancel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