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청약 미납회차 납입 인정일 계산기

주택청약 통장에서 미납된 회차는 추후에 납입을 통해 채워나갈 수 있습니다. 관련 내용은 지난 글에서 소개 드렸었는데요, 아무래도 개념만 말씀드리고 실질적으로 미납회차 납입 후 언제 인정되는지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해드리지 않은 것 같아 직접 계산할 수 있는 프로그램 (계산기)을 만들어봤습니다. 어떻게 사용하는지 이어서 설명드릴게요.

미납회차 납입 인정일 계산기

아래에 있는 계산기를 이용해 납입한 미납회차가 언제 인정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통장 최초 개설일을 입력하고 미납 없이 납입한 인정회차를 입력하세요. 그 후 미납분을 납입한 날짜와 몇 회를 납입했는지 입력하시면 됩니다 (한번 밀려서 납입했으면 그 이후 납입분은 모두 미납분에 대한 납입입니다). 미납분을 여러차례로 나눠서 냈거나 낼 계획이시라면 납입정보 추가 버튼을 누르신 후 입력하시면 됩니다. 좀 더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 있는 “계산기 사용법”을 참조하세요.

회차 약정납입일 실제납입일 연체일수 연체총일수 선납일수 선납총일수 납입인정일

계산기 사용법

통장 최초 개설일

가장 먼저 채우실 공란은 통장 최초 개설일입니다. 통장을 개설한 금융기관의 홈페이지나 앱에 들어가서 계좌정보를 보시면 언제 통장을 개설했는지 조회할 수 있습니다. 보통 통장 최초 개설일을 기준으로 1달이 지날때 마다 새로운 회차를 납입할 수 있습니다.

인정 납입회차

통장 개설 후 미납없이 납입한 인정 납입회차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그냥 납입회차가 아닌 인정 납입회차입니다. 그리고 미납 없이 납입한 회차만 입력하셔야 합니다. 만약 첫 회만 납입하고 그 다음달은 납입을 생략한 뒤 그 다음달부터 빠짐없이 납입했더라도 2번째 납입부터는 모두 미납분이기 때문에 인정 납입회차에는 숫자 1만 입력하셔야 합니다.

미납분 납입일

미납된 금액을 언제 납입할지 혹은 납입했는지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만약 오늘이라도 은행에 달려가서 미납된 금액을 납입하실 계획이라면 오늘 날짜를 입력하시면 되고, 만약 10일전에 납입했는데 납입한 회차가 언제 인정되는지 궁금하신 경우라면 10일전 날짜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추가 납입회차

앞에 입력한 미납분 납입일에 몇 회분을 납입했는지 입력하시면 됩니다. 추가 납입회차에는 오늘 날짜 기준으로 미납된 전체 회차에 선납으로 납입할 수 있는 24회차를 더한 만큼만 입력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100회를 미납했다면 124 까지만 입력 가능합니다.

납입정보 추가 버튼

미납 회차를 가장 빨리 채우는 방법은 조금이라도 더 빨리 모든 미납회차와 24회 선납분을 납입하는거지만, 미납된 회차가 너무 많다면 한번에 모두 납입하기 힘든 경우도 많이 있죠. 특히 납입 인정금액까지 신경써서 1회차당 10만 원씩 납입한다면 더욱 일시납이 힘들어집니다. 그러한 이유로 미납분을 나눠서 내셨거나 그럴 계획이시라면 납입정보 추가 버튼을 눌러서 추가 납입정보를 입력해주세요. 만약 전체 미납회차 + 선납 24회를 계산했더니 100회차가 나오는데 50회, 50회로 나눠서 내실 계획이시라면 납입정보 추가 버튼을 눌러 각각 50회차씩 입력하시면 됩니다. 납입일에는 각 50회를 납입할 날짜를 입력하시면 되고요.

납입정보 삭제 버튼

추가한 납입정보 입력란을 삭제하는 버튼입니다.

계산하기 버튼

현재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납입인정일을 계산합니다. 결과 표에서 약정납입일은 각 회차에 원래 납입해야 하는 날짜를 나타내며 실제납입일은 실제로 납입한 날짜입니다. 화면에서 입력하신 미납분 납입일이 들어가겠죠. 그리고 마지막으로 각 회차가 어느 날짜에 인정되는지를 보기위해선 납입인정일을 보시면 됩니다.

사용 예시

납입 내역

  • 2009년 05월 11일 1회 납입 (개설 후 납입)
  • 2009년 06월 11일 1회 납입
  • 2009년 07월 30일 1회 미납분 납입
  • 2009년 08월 11일 1회 미납분 납입
  • 2024년 02월 23일 198회 미납분 납입

납입 인정일 계산기 입력 방법

납입인정일-계산기-입력예시
납입인정일-계산기-입력예시

우선 처음 통장을 개설한 후 미납 없이 납입한 회차는 2회차이기 때문에 인정 납입회차는 2로 입력합니다. 그 다음 3회차는 7월 11일에 납입해야 하는데 7월 30일에 납입했죠. 조금이라도 늦게 납입했기 때문에 미납분 납입으로 입력합니다. 그 다음 4회차는 원래 납입하는 날(8월 11일)에 납입했지만 이미 한번 앞에서 미납이 발생했기 때문에 역시 미납분 납입으로 간주됩니다. (한번 미납이 발생하면 그 이후는 모두 미납분 납입입니다). 마지막으로 24년 2월 23일에 모든 미납분과 선납 24회분을 납입한다고 가정하여 198회를 입력했습니다.

납입 인정일 결과 표 보기

납입인정일-결과-표

출력 결과의 가장 아래부분만 잘라서 가져와봤습니다. 최종적으로 198회차를 한번에 납입하면 앞에 4회분을 납입한게 있으니 총 202회차까지 납입한게 됩니다. 그리고 202회차는 원래대로라면 26년 2월 11일에 인정될 예정인데 실제로는 32년 3월 26일에 인정됩니다. 6년 1개월 정도 더 늦어지네요.

엑셀 파일을 이용한 계산

위에 있는 계산기 프로그램을 통해서도 충분히 미납회차에 대한 납입 인정일을 계산할 수 있지만 납입 히스토리가 복잡한 경우, 예를 들어 최초 개설 후 납입과 미납을 여러차례 반복했다면 각각의 날짜를 하나씩 선택해서 입력하는게 쉽지 않습니다. 그런 경우 아래의 다운로드 버튼을 통해 엑셀 파일을 받으신 후 그 파일을 이용해서 계산 해보세요. 간단한 설명은 엑셀 파일에도 적어놓았습니다. 이상한 사이트로 이동하지 않으니 안심하고 받으셔도 됩니다 (단 클릭하셨을 때 광고가 한번은 뜰 수 있습니다).

미납 납입에 대한 고찰

회차별 납입 인정일
= 약정 납입일 + (연체 총 일수 – 선납 총 일수) ÷ 납입회차

전에 한번 다뤘던 내용인데 위의 식을 기억하시나요? 각 회차의 납입 인정일을 구하는 식입니다. 식을 잘 보시면 아시겠지만 연체 총 일수가 0이면 약정 납입일에 더해지는 값이 없기 때문에 약정 납입일이 곧 납입 인정일이 됩니다. 그리고 만약 우리가 100회차의 납입 인정일을 계산하고 있다고 한다면 연체 총 일수가 100일이면 1일 늦어지고, 200일이면 2일 늦어집니다 (선납은 없다고 가정하고 말씀드리겠습니다). 납입 인정일이 생각보다 크게 늘어나지 않는것 같은데 왜 위의 예에서 202회차는 6년 이상 늦어지는걸까요? 6년 지연이면 365 × 6 × 202 해서 총 연체일수가 약 44만 2천일 정도 되는 거거든요.

이 모든 이유가 납입 인정일을 계산할 때 연체 일수가 아닌 연체 일수의 누적, 연체 총 일수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앞의 예에서 4회차 납입은 8월 11일, 원래 납입해야 하는 날에 납입했는데 제가 미납분 납입이라고 한게 이상하지 않으셨나요? 그 이유는 이미 3회차 납입 때 19일 연체가 발생했고, 4회차는 연체일이 0일이지만 미납일을 계산할 땐 총 연체일을 사용하기 때문에 4회차의 총 연체일 또한 19일이 됩니다. 즉 4회차는 19 ÷ 4를 계산한 값, 4.xx 만큼 인정일이 늦어지기 때문에 8월 11일이 아닌 8월 15일에 납입이 인정된 겁니다.

예를들어 1회차만 납입 후 1년을 쉬고 다시 매달 약정 납입일에 10만 원씩 납입한다고 하면 2회차는 365일 연체이고 3회차는 365×2 한 만큼이 총 연체일이 됩니다. 3회차는 365 × 3 한 만큼이 총 연체일이고요. 한번 연체한 것이 지속적으로 이후 납입에도 영향을 미치는 구조입니다. 10년을 미납했다면 그 영향은 정말 크겠죠. 가능하면 연체를 하지 않는게 좋고 이미 연체가 발생했다면 지금부터라도 꾸준히 그리고 최대한 빨리 미납분을 채우는게 연체를 조금이라도 더 빨리 해소하는 방법입니다.

맺음말

최근 청약통장 지연납입 관련하여 방문하시는 분들이 좀 계시고 질문도 많이 주고계셔서 관련 프로그램을 만들어보면 좋을것 같다는 생각이들어 이렇게 프로그램을 만들고 글을 쓰게 됐습니다. 허접할진 모르지만 1.5일을 쉬지 않고 만든 결과인데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위 프로그램의 저작권은 logicladder.org에 있으며 혹시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다면 신고 부탁드립니다. 빠르게 수정해서 재배포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청약통장 관련 글

청약통장 미납회차 관련 글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관련 글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항목 *)

guest
17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INSA1

안녕하세요
최근에 청약통장에 관심갖게 되어 미납회차 및 미납인정일 계산하기 어려웠는데 고생하며 만들어주셔서 정말정말 감사드립니다.

2/29일 고객센터 전화하여 청약저축통장 상황을 알아봤습니다.
총 126회차가 미납되었으며 3회차는 일시금 선납이 가능하다하여
2/29일에 10만원씩 3회차 납부,
추가적으로 3/1일에 10만원씩 12회차 납부했습니다.
(3/1 현재 총 미납회차 126회 – 일시금선납 3회 – 분할납부 12회=> 잔여미납회차 111회)

* 청약통장 정보 (3/1기준)
통장개설일 : 2009.5.9
청약납입회차 : 67회
납입인정회차 : 55회
납입인정금액 : 347만원
총 금액 : 487만원
(납입 금액 및 기간: 10만원, 2018년 4월쯤?~ 현재, 중간에 2만원씩도 몇번 넣고. 30만원도 넣고 그랬습니다 ㅠ)

1. 계산식을 사용하면 납입인정회차 70회, 납입인정일자가 17년 11/5 에 인정을 받는다고 나옵니다.
그렇다면, 인정일자가 지났기 때문에 은행영업일에 바로 70회차로 변경이 될까요?

2. 2024. 3. 2일에 111회를 추가 납입한다고 가정하고 계산식 사용 시 181회차인 2027.11.5일에 인정받는다고 계산식에 나오는데 그때 111회를 모두 인정받을 수 있나요?

3. 앞으로 111회를 10만원씩 분할납부 신청하면 1110만원이라는 목돈이 필요한데 2만원으로 분할납부를 해야하나 아니면 추후에 여유자금 생길 시 10만원씩 12회차 납부(3/1일 납부한것과 동일하게)해야하나 고민이 되어 고견 듣고자 댓글 남깁니다.

(인정금액 또한 10만원이 아닌 2만원을 인정 받기 때문에 8만원씩 손해보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ㅠㅠ)

Last edited 3 months ago by INSA1
John

대박… 예적금 설계사이신가요?ㅎㅎ 감탄만 나옵니다. 정말 유용한 포스팅 감사히 잘 보겠습니다~

Nada

안녕하세요 자료 잘 보았습니다 제 상황에 맞게 입력했는데 결과값이 다르게나와서 혹시 제가 잘못한게있나 여쭤보고싶어요!

저는 2017.1.24일 가입 / 현재 24.3.10일
(금일)기준 인정회차 45회 , 미납회차 41회 였고 미납회차를 한번에 털기위해 당일에
미납회차 24회(최대)+17회 입금을 하니
인정회차 45회차->56회차로 늘어났습니다. 미납포함 86회를 인정 받아야하는데 엑셀상 기입을 해보니 86회차 인정기간이 24.12.17일 로 나오며 엑셀상에선 24.3.5일 날 인정 납입횟차가 76회차로 나오는데 3월기준 현재 어플로 조회하면 56회차 입니다. 제가 엑셀을 잘못 기입하였는지 ㅠㅠ 궁굼합니다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

IMG_0227
Cocomong

아~알려주신대로하니 제대로 계산되었습니다!! ㅎㅎ 궁굼한게있는데 달마다 미납분에대한 카운터가 올라가는데, 한달마다 원래대로 10만원씩 입금하면 카운트가 미납분+정상분 해서 2씩 되는건가요? 아니면 미납분이 모두인정되는 날로부터 10만원씩 넣어야 카운터가 올라가나요?

ryu

미성년자 때 미납한 것도 계산이 똑같이 적용되는지가 궁금합니다. 미성년자 때는 24회만 인정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성인이 될 때까지 한번밖에 넣지 않았습니다. 한번에 밀린 것을 다 넣으려고 계산하려는데, 혹시 인정 차수 및 납입 인정금액이 달라질까요?

SMS

아이고 가뭄에 단비 아니…사막 한가운데에서 찾은 오아시스 🙂
임대주택 알아보다가 엑셀 계산이 헛갈려서 헤매던 참에 천만다행으로 도움 받고 갑니다. 좋은 정보 정말 고맙습니다 !

크루셜

안녕하세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미납의 경우 납입인정일에 납입 횟수가 하나도 더 올라가는거고 그전에도 입금한 금액 자체는 인정되는거죠?

다나비

안녕하세요. 정말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좋은 포스팅 감사합니다! 막연히 미납분은 월2회씩 채우면 되겠지~ 했는데 그게 아니었네요..ㅠㅠ 질문이 있는데요

1. (회당 10만원으로) 얼마를 일시납하든 연말정산시에는 청약공제 최대금액인 240만원 한도로 인정이 되는게 맞나요?

2. 제 상황에서 일시납시 25/12/31 이전에 인정되는 최대 회차는 70회이고, 25/12/31 기준 약정납입일대로 납입했을시 원래 회차는 94회입니다. 그럼 청년으로 전환시 손해 회차가 24회인데 이정도 손해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엑셀계산기로 계산해보니 미납과 선납24회분을 다 채우고, 무려 20년간 매월 꾸준히 납입을 하더라도 납입인정일은 약정납입일보다 5-6개월이 늦더라구요. 청년전환을 해서 바로바로 납입인정을 받는 것보단 회차를 살리는 편이 좋다고 생각하시는지 의견을 여쭙습니다!